Lee Talbot

Curator,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Museum and The Textile Museum Washington, DC

In Wonju Seo’s talented hands, the aesthetics, forms,and techniques of bojagi— traditional Koreanwrapping cloths—are reconfigured as abstracttextile art for a global audience. Born in SouthKorea and currently living in the United States,  Seo combines needlework, painting, photography,and other techniques to create contemplativeartworks that explore her transcultural identityand life experience. As an apt point of departure,she often looks to jogakbo- patchwork bojagi, a time-honored Korean form that finds visualparallels in American pieced quilts and Westernmodernist paintings. Made with natural Koreanfabrics and slow, meticulous methods of handproduction, Seo’s sophisticated color combinationsand abstract geometries reflect the artist’s formaleducation as a painter. The exhibition Travelogueincludes recent projects as well as a selection of previous works that outline Seo’s journey asan artist who bridges mediums and cultures.

              Seo studied painting at Hongik University, one of South Korea’s most renowned art schools,and received a B.F.A. in fine arts painting in 1988.She recalls that during her undergraduate years,“art” became an ever more complicated andburdensome subject for her, and she struggled withquestions of why she should paint and how shecould articulate her own identity and viewpointsin her artwork. Still frustrated by these questionsupon graduation from Hongik, she began workingas a package designer and a textile designer. As apackage designer in a major company, Seo’s tasksincluded design, color correction for printing,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departments. As adesigner in a textile studio, she sharpened her skills in silk painting and developed her understandingand control of a wide range of materials. Afterher marriage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Seoembarked on an artistic path that allowed hergreater personal expression and creativity.

         The springboards for Seo’s new artisticdirection were jogakbo that she encountered in agallery in Seoul in 1989. These wrapping cloths,which dated back to the late Joseon dynasty (1392-1910) or early colonial period (1910-1945), weremade by women who followed a long Koreanlegacy of stitching together textile remnants tocreate functional objects for domestic use. In thesesmall textiles’ masterfully juxtaposed colors andshapes, Seo recognized the visual language offorms, lines, and planes that she had studied andpracticed in abstract painting. Awestruck by theskill, creativity, and lived experience embodied inthese bojagi and others like them, Seo resolved to supplant her brush and paint with needle andthread, and thus help continue and further thisabstract textile art tradition of Korean women.

        For hundreds of years, Koreans of all socialclasses have used bojagi, a general term thatdescribes many different kinds of wrapping andcovering cloths. Used to wrap gifts, cover diningtray tables, and transport and store everyday itemssuch as jewelry and bedding, bojagi protect andsymbolically elevate the objects they wrap, andemphasize the giver’s respect for the receiver. Bojagiused at the royal court and in certain ceremoniesoften were fashioned from single pieces of clothembellished with embroidery and other surfacedesign techniques, but some of the most widespreadexamples we have today are patchwork jogakbo.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textiles wereamong the most costly and cherished objects thatpeople owned because of the enormous amount oftime and labor required to make them. Due to theintrinsic value of fabric, people endeavored to makepractical use of even the tiniest scraps of cloth. As such, Korean women saved textile remnants,and as needed arranged them in pleasing patternsand stitched them together to make jogakbo.

      In the Neo-Confucian worldview that permeatedKorean society during the Joseon period, frugalityand modesty were highly valued, so a beautifulobject created from meager materials received greatrespect.  Buddhism also gave patchwork particularsignificance, as priests’ robes and temple furnishingsoften were made of fabric fragments pieced togetherto dispel the appearance of extravagance. InJoseon-dynasty Korea, lovingly made bojagi werewidely believed to be able to capture happiness andluck, and to imbue the wrapped objects with thesequalities. As mothers, grandmothers, sisters, andaunts pieced together jogakbo, they directed theirprayers, wishes, and positive thoughts toward thehappiness and well-being of their family members so as to instill these textiles with good fortune. 

        Although jogakbo fell out of use during Korea’s period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modern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extantexamples began to attract the attention of curators,collectors, and artists in the 1980s and 1990s. Aftermoving to the United States in 1998, Wonju Seofully embraced the textile medium and lookedparticularly to jogakbo for inspiration. Using smallpieces of silk, cotton, ramie, and hemp sourcedfrom hanbok makers in Korea, she created moderninterpretations of jogakbo that honored inheritedtraditions while giving her own imagination freerein. After becoming fully conversant in historicalforms, materials, and methods, Seo began tointroduce new techniques into her work, such as silk painting and embroidery, and to incorporatemixed media such as foam board and found objects.Two-dimensional, rectangular works expanded into three-dimensional soft sculptures, wearablebojagi, and even book art, all of which exploredvarious aspects of Seo’s cultural identity andpersonal experience as a woman with deep roots in Korea but now living in the United States. 

      Seo’s experimentations with shape and form eventually led to the production of large-scaleinstallations, some of which were site specific. WhiteWonderland, measuring more than 30 feet wide and25 feet long, fills a four-story skylight wall in theCharles B. Wang Center at Stony Brook University.Comprising 2,300 textile blocks painstakinglyfolded and stitched in the “seven treasure design”(chilbomun, 七寶文) often found on the doorsof Korean Buddhist temples, this monumentalinstallation, like many of Seo’s creations,evokes personal memories—in this instancechildhood recollections of Seoul transformedinto a “white wonderland” after a heavy snow. The artist’s memories of travel on Korea’s JejuIsland inform Through My Window: Ocean, Skyand Winds. A modern interpretation of hotbo—unlined, single-layered bojagi—this artworkcombines patchwork with painting, photography,and printing in a calming evocation of Jeju’sbeautiful, windswept landscapes. Windows are a recurring theme in Seo’s work, symbolizing for the artist the window through which sheobserved and imagined the outside world duringher childhood. Although the window delineates a boundary of protection and comfort, Seoexplains that “the window also represents mydream and desire to explore the unknown worldlike that of so many Korean women who grew up in a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includingmyself. My work reflects my past—where I came from, to the hopes for my future—where I will be going. From the inside, I boldly throwopen the window and freely play an active roleas a creative and contemporary person.

        Recently Seo has experimented with theexpressive potential of saekshil-nubi—a Koreanquilting technique in which cords of tightly rolledpaper or cotton are stitched between two layers of cloth to create a raised surface. In the past,bojagi made in this exceedingly time-consumingmethod were used to wrap objects that were fragileor susceptible to damage from moisture. In MapDrawing, she employs the three-dimensional lines of saekshil-nubi to map out abstractedtopographies and landscapes real and imagined.Though far removed from the function of saekshil-nubi wrapping cloths, Map Drawing exemplifiesSeo’s deep interest in historical hand-productionpractices and her ongoing quest to expand thetemporal and aesthetic horizons of these traditionaltechniques in contemporary textile art. 

      While continually drawing from the wellspringof traditional Korean textile forms and techniques, Seo also finds inspiration in the lives and historiesof the women who created bojagi in centuriespast.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n Koreanwomen were barred from receiving a formaleducation and their personal freedoms wereextremely curtailed, textile making was a primaryoutlet through which women articulated theirjoys, sorrows, and creative capacities. Joseonwomen left few written documents of their lives,but some textiles such as bojagi have survived as tangible legacies. The artworks presented in the exhibition Travelogue reflect Wonju Seo’s great respect for the materials, skills, and livedexperiences of her predecessors plus her desire toexpand inherited traditions and give voice to herown time, place, and life story within the historicalcontinuum. Tracing Seo’s personal and artistictrajectory, these works highlight the beauty andconsummate craftsmanship of bojagi as well as theexpressiveness and contemporary relevance of thisquintessentially Korean textile form in the hands ofa gifted artist who so deftly bridges East and West. 

보자기가 가지는 미감, 형태, 기법은 서원주 작가의 재능 있는손에서 추상적인 섬유 예술로 재구성되어 전 세계의 관객들에게 선보이게 되었다. 한국에서 태어나 현재 미국에서 사는 작가는 바느질, 회화, 사진 등등 여러 가지 기법들을 결합하여그녀의 다문화적인 정체성과 인생 경험을 탐구하는 관조적인예술품을 창조하였다. 적절한 출발점으로, 작가는 종종 조각천을 이어 만든 보자기인 조각보를 찾아보았으며, 이 유서 깊은 한국적 형태는 미국의 조각 퀼트와 서양 모더니스트 회화와 시각적으로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그녀의 작품들은 한국의천연 직물들을 장시간에 걸쳐 세심한 방법을 통해 수작업하여 만든 것인데, 정교한 색의 배합과 추상적인 기하학적 배열에서화가로서정규교육을받은그녀의이력을엿볼수있다. “Travelogue (여행기)”전시는 최근 프로젝트뿐 아니라 이전작품들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매체와 문화를 연결하는예술가로서의 그녀의 여정을 잘 보여 준다. 

       서원주 작가는 한국에서 가장 이름 있는 미술대학의 하나인 홍익대학교에서 회화를 공부하였고, 1988년에 회화로미대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학 시절“, 미술”은 더욱 복잡하고 부담스러운 주제가 되어,“왜”그려야 하는지, 그리고 작품 안에서 그녀만의 정체성과 관점을 어떻게 명료하게 표현할것인지 고민했다고 회고하였다. 이런 고민이 해소되지 않은 채그녀는 홍익대학교를 졸업하고 패키지 디자이너와 텍스타일 디자이너로 일을 시작하였다. 대기업의 패키지 디자이너로서 그녀의 업무는 디자인, 인쇄를 위한 색 보정 그리고 다른 부서와의 협업을 포함했다. 텍스타일 스튜디오의 디자이너로서, 그녀는 실크 페인팅 기술을 향상하고 재료에 대한 이해와 다루는능력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미국에서 결혼 후, 그녀는 개인적인 표현과 창의성이 허용되는 예술가의 길을 걷기 시작 했다. 

       작가는 서울의 한 미술관에서 조각보를 만난 후 새로운방향으로 도약하게 된다. 조선 후기(1392-1910) 혹은 일제강점기(1910-1945) 초기작으로 추정되는 이 보자기들은 가정용의 기능적 소품을 만들기 위해 쓰고 남은 천 조각들을 꿰매는오랜 한국 유산을 따랐던 여인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 작은직물들 안에 능숙하게 병치된 색채와 모양에서 작가는 추상 회화를 배울 때 공부하고 연습했던 형태와 선, 면 등의 시각언어를 알아보았다. 작가는 기술, 창의력, 그리고 살아있는 경험이 이 보자기류들에 체화되어 있다는 것에 감탄하면서, 붓과 물감을 바늘과 실로 대체하기로 하였고, 한국 여성들의 이추상적인 섬유 예술의 전통이 계승, 발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인들은 수백 년에 걸쳐 모든 사회 계층에서 보자기를 사용했다.‘보자기’는 여러 가지 종류의 포장하고 덮는 천들을 기술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보자기는 선물을 포장하고, 밥상을 덮고, 장신구나 침구와 같은 일상용품들을 싸서운반하거나 보관하는 데 사용된다. 보자기는 포장된 물건을보호할 뿐 아니라, 선물에 품격을 부여하고 선물을 받는 사람에 대한 주는 사람의 존경을 표시한다. 궁중에서나 특별한 의식에서는자수혹은다른표면디자인기법으로장식된한장의 천으로 만든 보자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오늘날우리가가지고있는가장널리퍼져있는예들중일부는페치워크 (patchwork) 조각보이다. 산업혁명 이전의 섬유제품은막대한 시간과 노동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소유한 가장비싸고귀한물건중하나였다.직물자체가비싼것이었기때문에 사람들은 아무리 작은 조각이라도 실용적으로 사용하려고 노력했다. 이처럼 한국 여성들은 남은 천을 모아두었다가필요에 따라 그것들을 아름다운 패턴으로 배열하고 꿰매어 조각보를 만들었다.

 “창”을 상징한다“. 창”은 안전함과 편안함의 경계를 묘사하지만, 작가는“창은 또한 알려지지 않은 세계를 탐험하고자  하는 나의 꿈과 열망을 나타내며, 그것은 전통적인 유교 문화에서 자라난 나를 포함한 많은 한국 여성들의 것과 비슷하다.”라고 하였다. 또“나의 작품은 내가 어디에서 왔는가에 대한나의과거와어디로갈것인가에대한나의미래에대한희망을 반영한다. 나는 안에서 과감하게 창문을 열어젖히고 창조적인 현대인으로서 자유롭고 적극적인 활동을 하였다.”라고설명하였다.

       조선 시대에 한국 사회에 유입된 신유교주의 세계관에서는 절약과 겸양이 높이 평가되었고, 따라서 빈약한 재료로부터 창조된 아름다운 물건은 대단한 존중을 받았다. 또한, 불교에서도 조각을 이어붙이는 것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는데사치스러운 외관을 배제하기 위하여 작은 조각들을 이어붙여승복이나절안의가구들을만드는경우가많았다.조선시대의 한국에서는 애정을 기울여 만든 보자기가 행복과 행운을 가져다주고 보자기에 싸인 물건에도 행운과 행복이 깃든다고 널리 믿어졌다. 어머니, 할머니, 언니, 그리고 이모들은 조각보를 함께 이으면서 가족들의 행복과 안녕을 기원하는 기도와소망과긍정적인생각들을모았으며,한땀한땀이보자기에 행운을 담았다. 

       비록 20세기 한국의 급격한 산업화와 현대화 시기에 조각보는 더는 빈번히 사용되지 않게 되었지만, 현존하는 사례들은 1980년대와 1990년대 들어 큐레이터, 소장가, 그리고예술가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서원주 작가는 1998년에 미국으로 건너온 이후 섬유 매체를 완전히 수용하였으며 영감을 얻기 위해 특히 조각보에 주목했다. 그녀는 한국에서 한복을 만드는 사람들에게 얻은 실크, 면, 모시, 마 등의 작은 조각들을 이용함으로써 고유한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자신만의상상력을 자유롭게 발휘하여 조각보의 현대적 해석 작업을 시작했다. 작가는 과거의 형태, 재료, 그리고 방법들에 정통한이후에 실크 페인팅이나 자수와 같은 새로운 기법을 그녀의작품에 도입하였고, 폼보드 (form board)나 파운드 오브제(found objects)와 같은 혼합 매체 (mixed media)를 결합하기도 하였다. 이차원의 직사각형 작품들은 삼차원의 연성조각 (soft sculpture), 입는 보자기, 그리고 북 아트(BookArt)로까지 확장되었으며, 이 모든 것들은 한국에 깊은 뿌리를둔,그러나현재미국에살고있는작가의문화적정체성과개인적 경험의 다양한 면을 탐구하였다. 

       모양과 형태에 대한 작가의 실험은 마침내 대규모의 설치미술 작업으로 이어졌고, 그중 어떤 것들은 장소 특정적 (sitespecific) 작품이었다“. White Wonderland (설경)”는 9.1m폭과 6.1m 길이 이상 규모의 작품으로, 스토니브룩 대학의찰스 왕 센터에 있는 4층 높이의 스카이라이트 갤러리 벽을채우고 있다. 다른 많은 그녀의 작품처럼 작가의 개인적 기억을 환기시키는 이 기념비적인 설치 미술 작품은 한국의 불교사원의문에서흔히볼수있는칠보문의모양으로공들여접고 꿰맨 2,300 개의 직물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폭설이내린 이후 하얀 설국으로 변한 서울에 대한 어린 시절의 추억이 담겨 있다. 

       “Through My Window: Ocean, Sky and Winds(나의 창으로: 바다, 하늘 그리고 바람)”에서는 한국 제주도여행에 대한 작가의 기억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안감을 대지 않고 한 겹으로된 보자기인 홑보의 현대적인 해석으로 패치워크 (patchwork)를 페인팅, 사진, 그리고 프린팅과결합하여 제주의 아름답고 바람 부는 풍경을 조용히 떠올리게 한다“. 창”은 작가의 작품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주제이고, 그녀가 어린 시절에 바깥 세계를 관찰하고 상상하던는 “창”을 상징한다“. 창”은 안전함과 편안함의 경계를 묘사하지만, 작가는“창은 또한 알려지지 않은 세계를 탐험하고자 하는 나의 꿈과 열망을 나타내며, 그것은 전통적인 유교 문화에서 자라난 나를 포함한 많은 한국 여성들의 것과 비슷하다.”라고 하였다. 또“나의 작품은 내가 어디에서 왔는가에 대한나의과거와어디로갈것인가에대한나의미래에대한희망을 반영한다. 나는 안에서 과감하게 창문을 열어젖히고 창조적인 현대인으로서 자유롭고 적극적인 활동을 하였다.”라고설명하였다.

       최근 작가는 도드라진 표면을 만들기 위해 단단하게말린종이나면을두겹의천사이에넣고실로꿰매는한국의 퀼팅 기법인 색실누비의 표현 가능성을 실험하고 있다.과거에는 깨지기 쉬운 물건이나 습기에 손상되기 쉬운 물건들을포장하는데사용하기위하여이렇게시간이오래걸리는 방법으로 보자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작가는“MapDrawing (지도 그리기)”에서 입체 선을 사용하여 실제와 상상의 추상적인 지형과 풍경을 그려냈다.“Map Drawing (지도 그리기)”에서 색실누비는 포장하는 천의 기능을 탈각하고,과거의수작업생산에대한깊은관심과현대섬유예술에이런 전통적인 기법의 현재적이고 미적인 지평을 넓히려는 지속적인 탐구를 보여준다.

       서원주 작가는 한국의 전통적인 섬유공예의 형태와 기법의 원천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영감을 받기도 하였지만, 수 세기 전 보자기를 만들었던 여성들의 삶과 역사로부터도 영감을받았다. 조선 시대에 한국 여성들은 공식적인 교육을 받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고, 그들의 개인적인 자유는 극도로 축소되어 있었다. 섬유공예는 여성들이 그들의 기쁨, 슬픔, 그리고창조적인 능력을 표현했던 주요한 배출구였다. 조선 시대 여성들은그들의삶에대한문헌자료를많이남기지는않았으나 보자기와 같은 직물들은 실재하는 유산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번 전시“Travelogue (여행기)”에 발표된 작품들은 선대의 재료, 기술과 살아있는 경험에 대한 그녀의 커다란존경심을 표현하고 있을 뿐 아니라 물려받은 전통을 확장하고역사적인 연속체 안에서 그녀 자신의 시간, 장소, 그리고 삶의 이야기에 목소리를 부여하고자 하는 예술가로서의 열망을반영하고 있다. 서원주 작가의 개인적인 이력과 예술가로서의궤적을따라가다보면우리는이작품들을통해보자기의아름다움과고도의장인정신을발견할수있을뿐아니라동양과서양을능숙하게연결하는재능있는예술가의손으로만들어진 전형적인 한국적 직물 양식의 표현력과 현대적 관련성또한발견할수있다.


Using Format